한국 증시는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19.43포인트(0.77%) 하락한 2,517.37로 마감했으며, 코스닥 지수는 0.45포인트(0.06%) 내린 728.29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핵심 뉴스와 테마 움직임
딥시크(DeepSeek) 쇼크
챗GPT 등장 이후 중국에서도 딥시크 개발했다는 뉴스가 보도되었습니다. 설연휴로 해당 이슈가 온전히 반영되지는 못했지만, 시가총액 1위로 올라섰던 엔비디아의 적지 않은 충격파가 전달되었습니다. 현재 딥시크는 R1과 V3를 개발하는데 불과 78억을 사용했다고 밝혔는데, 이는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최신 AI 개발 비용의 1/1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등장이 글로벌 증시에 충격을 주었습니다. 딥시크는 ChatGPT와 같은 대화형 AI 챗봇으로, ChatGPT 개발 비용의 5%만으로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는 AI 개발 비용 절감 가능성을 시사하며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GRT(29.92%) 플리토(29.91%) 코난테크놀로지(24.45%) 인스웨이브시스템즈(22.68%) 솔트룩스(18.16%) 네이버(+6.13%), 카카오(+7.27%), 삼성SDS(+6.16%) 등 관련 종목들이 강세를 보였고, 저가형 GPU 및 후발 AI 테크 중국향 반도체, 저사양 반도체, 온디바이스 AI 관련 주식들이 주목받았습니다. 반면, 기존 대형 AI 관련 주식들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SK하이닉스가 약 10% 하락하는 등 메모리 반도체 관련 주식들이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전력 설비 및 에너지: 저전력 AI 개발 가능성으로 인해 전력 설비 및 에너지 관련 주식들이 하락했습니다.
미국 FOMC 금리 동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그러나 성명서에서 "2%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향해 진전하고 있다"는 문구를 삭제하고 "인플레이션이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문구로 대체한 점이 주목받았습니다.
삼성전자 실적 발표
삼성전자가 이날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로봇 기술을 활용해 로봇 개발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로봇 관련 주식들의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라온테크(29.90%) 한국무브넥스(23.25%) 하이젠알앤엠(22.42%) 레인보우로보틱스(21.26%) 로보티즈(12.63%) 등이 상승탄력을 받았습니다.
중국발 AI 보안 우려에 따른 정부와 기업 딥시크 차단 추진 소식에 싸이버원(19.03%) 샌즈랩(+14.44%), 모니터랩(+12.07%) 오픈베이스(7.48%) 한싹(7.18%) 등 AI 보안 관련 주식들이 상승했습니다.
정치발 뉴스는 서울 시장 대선 출마 시사 보도되면서 진양화학(29.31%) 진양산업(21.55%)진양폴리(9.84%) 한일화학(8.24%) 누리플랜(6.23%) 움직였습니다.
개별이슈로는 피델릭스 (29.96%) 온코크로스(18.69%) 와이팜(17.91%) 삼성화재(11.71%) NAVER(6.13%) 상승마감하였습니다.
2025.01.31 상한가
엠케이전자 [오늘의 급등주] ‘中 딥시크 수혜주’ 엠케이전자 개장 직후 상한가 직행|주간동아
GRT [특징주] GRT, 딥시크 납품 수혜에 ‘상한가’ < 증권 < 금융증권 < 기사본문 - 이비엔(EBN)뉴스센터
피델릭스 [특징주] 피델릭스 상한가, 中 딥시크 AI 공세에 뜻밖의 수혜보는 반도체 관련주 < 시세/공시 < 증권 < 기사본문 - 와이드경제
라온테크 라온테크, 딥시크 열풍...中 1위 장비사 '차세대 장비 전체 적용' 러브콜↑ [특징주] - 파이낸셜뉴스
플리토 플리토·GRT 등 AI챗봇 관련주 강세...딥시크 등장에 수혜 < 종합 < 경제 < 기사본문 - 국제뉴스
'상한가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年02月04日>양자테마__조선_반도체_로봇_의료AI_샘 알트먼 (8) | 2025.02.13 |
---|---|
<2025年02月03日>AI_대왕고래_희토류_트럼프관세_딥시크 (4) | 2025.02.13 |
<2025年01月24日> 로봇_방산_전력_정치_조선_원전 (2) | 2025.02.13 |
<2025年01月23日>정치_통신장비_의료AI (2) | 2025.02.13 |
<2025年01月22日>양자암호_반도체_우주항공_원전_전력_건설기계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