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27.58포인트(1.11%) 상승한 2,509.27로 마감했습니다.
코스닥 지수는 11.06포인트(1.54%) 상승한 730.98에 마감했습니다.
주요 특징주 분석
샘 울트먼 한국 방문에 따른 국내 기업과 로봇/ AI 분야의 협력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관련 종목들이 긍정적 시너지를 받고 있습니다. 로봇 관련 주식들이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샘 올트먼 오픈 AI CEO의 만남 이후 로봇 산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영향으로 보입니다.
로봇테마에서는
특히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을 35%까지 늘려 최대주주가 된 것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클로봇(29.95%) 해성에어로보틱스(22.72%) 삼현(19.71%) 레인보우로보틱스(9.12%) 고영(5.86%)
AI테마에서는
한/미/일 AI 동맹 소식이 전해지면서
솔트룩스(17.14%) 바이브컴퍼니(12.46%) 엑셈(8.37%) 카카오(5.62%) NAVER(4.81%)
의료AI 분야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샘 올트먼 오픈 AI CEO,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의 만남으로 AI 기술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면서 관련 주식들이 상승했습니다.
삼천당제약(21.69%) 아이엠비디엑스(12.65%) 제이엘케이(9.55%) 토마토시스템(9.37%) 코어라인소프트(9.14%) 뷰노(8.33%) 상승마감하였습니다.
2차 전지는
금양(8.03%) 포스코퓨처엠(5.20%) LG화학(3.99%) 삼성SDI(3.60%) LG에너지솔루션(3.41%)
반도체 업종에서는 테스(18.88%) 어보브반도체(16.01%) 필옵틱스(10.05%) 이수페타시스(6.33%) SK하이닉스(4.03%) 올랐습니다.
개별이슈로는
인스코비(27.92%) SOOP(27.31%) 삼천당제약(21.69%) 아이윈플러스(19.14%) 유한양행(5.88%) 움직임이 있었습니다.
시장 전망과 결론
전문가들은 미중 간 관세 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당분간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중국 측이 관세 부과 시점을 오는 10일로 지정하고, 미국이 중국에 60%가 아닌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등 양국이 대화를 통한 협상의 여지를 남겼다"라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전일 중국이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보복통상조치를 발표하며 상승분을 반납했으나 이날 해당 조치에 대한 낙관적인 분위기가 조성되며 코스피가 다시 2500선을 회복했다"고 언급했습니다. 2025년 2월 5일 국내 증시는 미중 관세 협상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로봇, 제약, AI 등 신성장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가 시장을 이끌었고, 개별 종목에서는 기업의 실적 개선과 정부 정책에 따른 기대감이 주가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2025.02.05 상한가(종가기준)
애드바이오텍
[특징주] 애드바이오텍, 음식물처리기 미생물제 대형 고객사 확보 소식에 ‘上’ - 조선비즈
클로봇
[특징주] 클로봇 급등, 삼성전자 '美 스타게이트 협력’으로 로봇 사업 도약하나 < 시세/공시 < 증권 < 기사본문 - 와이드경제
'상한가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年02月07日>유리기판_우크라재건_로봇_반도체_방산_최태원 (0) | 2025.02.14 |
---|---|
<2025年02月06日>유리기판_우크라재건_봇AI_보안_전력 (2) | 2025.02.14 |
<2025年02月04日>양자테마__조선_반도체_로봇_의료AI_샘 알트먼 (8) | 2025.02.13 |
<2025年02月03日>AI_대왕고래_희토류_트럼프관세_딥시크 (4) | 2025.02.13 |
<2025年01月31日>중국발AI_딥시크_로봇_보안_정치 (4)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