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한가 분석

<2025年03月12日>반도체_화장품_뷰티_로봇_철강_보험

by 쌍코피_상한가 2025. 3. 12.

 

2025.03.12 코스피&amp;코스닥 지수
2025.03.12 쌍코피지수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1% 이상 올랐습니다. 

코스피 2570선 회복하며 1.47% 상승하였고 코스닥 1.11% 상승하며 729.49 기록하였습니다.

 

2025.03.12 상한가

아센디오

최수종·하희라 배우들 떠났는데…주가 급등 무슨 ? | 한국경제

참엔지니어링

참엔지니어링 상한가…유통주식 80% 감자 결정 < e-trend 뉴스 < 기사본문 - 중앙이코노미뉴스

리노믹스

클리노믹스, 4 사업 분야 집중...글로벌 시장 공략 박차 < 증권·IB < 금융·증권 < 기사본문 - 핀포인트뉴스

클리노믹스, 셀레스트라로 상호 변경

레이저옵텍

[특징주] 레이저옵텍, 학회 참가로 ‘상한가’ < 증권 < 금융증권 < 기사본문 - 이비엔(EBN)뉴스센터

쓰리에이로직스

[특징주] 쓰리에이로직스, 삼성-애플 LPW D 개발… 'LPDDR5X' D 제공 부각 - 머니S

에스엠씨지

에스엠씨지 주가 花色도네... 친환경 용기로 '대박' 정조준 < 증권·IB < 금융·증권 < 기사본문 - 핀포인트뉴스

[특징주] 에스엠씨지, 글로벌 K뷰티 훈풍 기대감에 상한가 직행” 화장품용기 시장 공략 < 시세/공시 < 증권 < 기사본문 - 와이드경제

 

특징주 상세 분석

D램 재고 감소 및 범용 메모리 가격 반등 영향 등에 쓰리에이로직스(29.92%) 그린리소스(25.05%) 퀄리타스반도체(20.96%) 한화비전(9.22%) SK하이닉스(5.91%) 

 

한한령 해제 기대감과 국내 화장품 업황 기대감이 지속되며 에스엠씨지(29.89%) 씨앤씨인터내셔널(26.18%) 제이투케이바이오(11.14%) 토니모리(7.26%) 한국화장품제조(6.73%) 

 

피부미용 업체 VC투자 유치 호조 속에 K뷰티 미용 의료기기 인식 제고 전망되며 레이저옵텍(29.89%) 파인메딕스(17.39%) 휴온스글로벌(13.24%) 라메디텍(10.45%) 제테마(8.70%)

 

엔비디아가 내주 'GTC2025' 개최 소식과 휴머노이드 성장성이 부각되며 티로보틱스(17.47%) 하이젠알앤엠(10.63%) 유니퀘스트(9.70%) 고영(6.83%) 씨메스(5.83%) 

 

미국이 철강과 알루미늄 25% 관세 발효속에도 수출 물량 확대 전망에 알멕(14.43%) POSCO홀딩스(5.90%) 이구산업(4.65%) 삼아알미늄(4.65%) 현대제철(2.46%)

 

금융당국이 보험사 킥스 기준 완화 소식과 주주배당 여력이 확대된다는 기대감이 반영되며 현대해상(10.99%) 한화손해보험(7.28%) 한화생명(4.70%) DB손해보험(3.85%) 롯데손해보험(3.78%)

테마별 주요 이슈

반도체 업종 강세

오늘 증시의 가장 큰 특징은 반도체 관련 기업들의 강세였습니다. 대형 반도체 제조사뿐만 아니라 반도체 장비와 소재 관련 기업들도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회복 기대감과 함께 AI 반도체에 대한 수요 증가 전망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2차전지 업종 반등

전날 급락했던 2차전지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오늘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고, 
국내 2차전지 기업들의 기술력과 생산능력이 높이 평가받고 있는 점이 투자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방산 업종 강세

유럽의 방위비 증액 소식에 힘입어 국내 방산 업체들의 주가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육상 무기체계를 생산하는 기업의 주가가 52주 신고가를 기록하는 등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글로벌 안보 불안 속에서 국내 방산 기업들의 수출 전망이 밝아지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미용 관련주 상승

코스닥 시장에서는 미용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최근 뷰티 산업의 성장과 함께 국내 미용 기업들의 해외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

오늘 국내 증시는 반도체와 2차전지 업종의 강세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습니다. 글로벌 경기 회복 기대감과 함께 국내 주요 산업의 경쟁력이 재평가받고 있는 모습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만큼,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의 시장 흐름은 미국의 경제 지표와 연준의 통화정책, 그리고 주요국의 경제 동향 등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이번 주 발표될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등의 경제 지표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