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KOSPI): 2025년 4월 9일, 코스피는 미국의 관세 정책 영향으로 급락하며 2,293.70에 마감했습니다. 17개월 만에 처음으로 2,300선 아래로 떨어진 수치입니다. 지수는 40.53포인트(-1.74%)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반영했습니다.
코스닥(KOSDAQ): 코스닥은 같은 날 643.39에 마감하며 15.06포인트(-2.29%) 하락했습니다. 2023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650선 아래로 떨어진 기록입니다.
2025.04.09 상한가
동양철관
[특징주] 동양철관, 美 알래스카 가스관 협력 기대에 급등
흥국화재우
흥국화재우·엠아이큐브솔루션·모코엠시스·THE E&M 등 10종목 상한가, 에르코스·한국피아이엠·모코엠시스 등 큰 폭 상승 마감 | 영남일보 - 사람과 지역의 가치를 생각합니다.
THE E&M
THE E&M(더이앤엠) 주가 장초반 30% 상한가 급등 배경은? < 종합 < 경제 < 기사본문 - 국제뉴스
에쎈테크
글로벌 경쟁력 강화 에쎈테크 주가 폭등랠리...냉난방 공조 산업의 숨은 강자 부각 < 증권·IB < 금융·증권 < 기사본문 - 핀포인트뉴스
[특징주] 에쎈테크 급등, 이준석 내주 대선공약 발표 "연금개혁 리셋할 것" < 시세/공시 < 증권 < 기사본문 - 와이드경제
링크드
AI 정책 수혜 기대...링크드 상한가, 넥써쓰 주목 - 아시아투데이
엠아이큐브솔루션
엠아이큐브솔루션 주가 폭등랠리... AI로 제조업 혁신 생산성 극대화 '눈앞' < 증권·IB < 금융·증권 < 기사본문 - 핀포인트뉴스
벡트
[특징주] 벡트 상한가, 대권 경쟁 불붙자 “교육 정책 수혜주도 질주” < 시세/공시 < 증권 < 기사본문 - 와이드경제
대동스틸
[특징주] 대동스틸 급등, 韓·美 관세 협상 재기 ‘알래스카 LNG·조선 협력’ 카드 맞대응 < 시세/공시 < 증권 < 기사본문 - 와이드경제
상지건설
"당 대표 사퇴 선언" 이재명 테마주 또 급등…상지건설, 6연상 :: 공감언론 뉴시스 ::
카티스
'조기 대선 기대감' 이재명 관련주 카티스·상지건설 주가 30% '상한가' < 종합 < 경제 < 기사본문 - 국제뉴스
테마별 주요 동향
한국 총리와 트럼프 통화 속 알래스카 LNG 방위비 논의 소식에 동양철관(29.99%) 대동스틸(30.00%) 넥스틸(26.25%) 화성밸브(18.14%) 휴스틸(10.85%)
제 1 야당 대표 대선 출마위해 당대표 사퇴 이르면 내일 출마 선언 소식에 상지건설(29.95%) 디젠스(16.29%) 오리엔트바이오(8.84%) 동원금속(8.50%) CS(7.84%)
조기 대선이 6월 3일로 확정되며 유력 후보들의 출마 소식속에 카티스(30.00%) 벡트(29.89%) 에르코스(21.17%) 계룡건설(16.59%) 크라우드웍스(14.25%)
시장 전반 흐름
- 글로벌 관세 충격:
-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및 기타 국가에 대한 고율 관세를 공식적으로 시행하면서 한국 증시가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로 인해 외국인 투자자들이 대규모 매도에 나서며 시장 하락을 주도했습니다.
- 관세 정책은 특히 자동차, 반도체 등 주요 수출 산업에 타격을 주었으며, 관련 테마주들이 약세를 보였습니다.
- 외국인 매도세:
- 외국인 투자자들은 코스피에서 약 1조 원, 코스닥에서 약 100억 원 규모의 매도를 기록하며 하락을 가속화했습니다. 외국인들이 지난 8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이어간 결과입니다.
- 환율 변동성:
- 원-달러 환율은 급등하여 1,467.8원을 기록하며 외환 시장에서도 불안정성이 확대되었습니다.
핵심 이슈
- 미국 관세 정책:
- 미국의 관세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와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졌습니다. 한국 정부는 자동차 산업 지원책을 발표하며 대응에 나섰지만, 시장의 반응은 제한적이었습니다.
- 정치적 테마주 부각:
- 조기 대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정치 및 정책 관련 테마주들이 단기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특정 후보와 연관된 지역 기반 종목 및 정책 수혜주들이 주목받았습니다.
- 기술주 및 반도체 업종 약세:
- 반도체 업종은 글로벌 경기 둔화와 관세 리스크로 인해 혼조세를 보였으며, 주요 대형 기술주는 하락했습니다.
테마별 분석
- 정치 테마주:
- 조기 대선과 관련된 정치 테마주는 단기적인 상승을 보였으나 전반적인 시장 약세 속에서 지속적인 상승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 자동차 및 에너지 업종:
- 자동차 업종은 정부의 지원책 발표에도 불구하고 관세 리스크로 인해 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에너지 관련주는 국제 유가 변동성과 함께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 금융 및 부동산 관련주:
- 금융업종은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지만, 부동산 관련 정책 변화 가능성으로 인해 일부 종목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소형주 및 신흥 테마주:
- 소형주와 특정 신흥 테마주는 외국인의 매도 압력에도 불구하고 일부 상승했으나 전반적인 투자 심리 악화로 제한적인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향후 전망
- 단기적 변동성 지속: 글로벌 관세 갈등과 환율 변동성이 지속됨에 따라 주식시장의 단기적 불안정성이 예상됩니다.
- 저평가 매력 증가: 코스피의 역사적 저점 수준(PBR 0.83배)으로 인해 중장기적으로 저평가된 종목들에 대한 매수 기회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정책 기대감: 조기 대선과 정부의 경기 부양책 발표는 시장 심리를 개선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상한가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年04月11日>웹툰_조선_의료AI_바이오_전력_로봇 (32) | 2025.04.11 |
---|---|
<2025年04月10日>반도체_조선_창투사_온실가스_LNG_로봇 (43) | 2025.04.10 |
<2025年04月08日>정치_반도체 (49) | 2025.04.08 |
<2025年04月07日>정치_정책_2차전지_엔터_태양광 (45) | 2025.04.07 |
<2025年04月04日>정치_정책_2차전지_엔터_태양광 (32)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