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상한가
세진중공업
IBK證 "세진중공업, 조선주 중 가장 높은 수익성…목표가↑" :: 공감언론 뉴시스 ::
진흥기업우B
[공시] 진흥기업, 470억 규모 가로주택정비사업 수주 - 파이낸셜뉴스
그린생명과학
그린생명과학, 중화권 코로나 확산 소식에 '상한가' - 머니투데이
셀리드
'코로나 재유행' 그린생명과학·셀리드·수젠텍 등 관련주 강세 < 종합 < 경제 < 기사본문 - 국제뉴스
더바이오메드
혁신 바이오 기업 더바이오메드, 뼈를 깎는 노력 끝 수익성 회복 청사진 제시 < 증권·IB < 금융·증권 < 기사본문 - 핀포인트뉴스
테마별 주요 동향
한미 협력 기대감 및 하반기 상승 추세 지속 전망에 세진중공업(29.91%) 오리엔탈정공(11.91%) 일승(11.23%) HD현대마린엔진(6.46%) 삼성중공업(4.93%)
전 세계 국방비 확대 전망 및 이스라엘 이란 핵시설 타격 정황 포착에 엠앤씨솔루션(8.74%) 현대로템(5.19%) 한화에어로스페이스(4.29%) 한화시스템(3.79%) LIG넥스원(3.21%)
코로나19 재확산 소식에 그린생명과학(29.78%) 더바이오메드(29.88%) 셀리드(30.00%) 휴메딕스(12.53%) 수젠텍(7.45%)
미국 FDA 삼성바이오 생산시설 실사 착수 및 트럼프 대통령의 의약품값 인하 수혜 기대감에 서린바이오(17.05%) 바이넥스(12.50%) 일신바이오(7.63%) 삼성바이오로직스(7.11%) 삼천당제약(5.12%)
구글과 삼성전자 젠틀몬스터와 스마트안경 시장 재도전 소식에 라온텍(18.58%) 케이쓰리아이(12.50%) 한주에이알티(11.64%) 티쓰리(9.76%) 케이이엠텍(9.04%)
삼성 우주사업 진출 기대감에 쎄트렉아이(15.30%) AP위성(10.58%) 인텔리안테크(6.95%)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6.24%) 파이버프로(6.23%)
[TTP] TODAYS TOP POINT
주요 시장 동력 및 매크로 이슈
- 환율 및 외국인 자금 유입
원/달러 환율이 1,380원대로 재진입하며 원화 강세가 나타났고, 외국인 자금 유입을 자극했다.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에 나서면서 대형주 중심으로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 글로벌 증시 영향
전일 미국 증시는 의회 예산안 협상 불확실성과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약화로 하락했으나, 국내 시장은 저가 매수세와 관세 협상 기대감에 힘입어 반등했다. 유럽 증시는 혼조세를 보였으나, 국내 투자자들은 글로벌 불확실성보다 국내 호재에 더 주목하는 모습이었다. - 관세 협상 및 정책 기대감
한미 관세 협상 관련 긍정적 기대감이 시장에 반영됐다. 정부의 바이오산업 관세 피해 지원 계획 등 정책적 지원도 투자 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업종별 및 테마별 시장 흐름
1. 바이오·헬스케어
- 바이오주가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을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다. 저가 매수세와 정부의 산업 지원 정책, 글로벌 임상 및 신약 개발 기대감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 제약, 의료정밀기기 업종이 코스피에서도 두드러진 상승세를 기록했다. 특히 바이오산업에 대한 관세 피해 지원 정책이 호재로 작용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2. 반도체 및 IT
- 반도체 관련주는 약상승 기조를 이어갔다. 글로벌 IT 업황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되며 대형주 중심으로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3. 기계·장비, 운송, 건설
- 기계·장비, 운송장비·부품, 건설업종도 1% 이상 오르며 전반적인 경기 회복 기대감이 반영됐다. 인프라 투자 확대와 경기민감주 순환매가 나타났다.
4. 원전 및 전력기기
- 원전, 전력기기 관련주가 강한 움직임을 보였다. 에너지 정책 변화와 글로벌 친환경 트렌드, 정부의 원전 산업 지원 기대감 등이 배경으로 작용했다.
5. 신재생에너지 및 2차 전지
- 신재생에너지, 2차 전지 업종은 미국 보조금 정책 일몰 등 이슈로 변동성이 확대됐으나, 친환경 정책 기대감은 여전히 유효한 상황이다.
6. 정치·정책 테마
- 차기 정부 출범을 앞두고 정책 변화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에 반영됐다. 인프라, 친환경, 바이오 등 정책 수혜 업종에 매수세가 유입됐다.
투자 주체별 동향
- 외국인: 원화 강세와 관세 협상 기대감에 힘입어 대형주 중심으로 순매수.
- 기관: 정책 수혜 기대 업종 및 경기민감주에 매수세 유입.
- 개인: 차익실현 매물 출회, 일부 테마주 중심의 순매도.
시장 심리 및 전망
- 저가 매수세: 최근 조정 이후 저점 인식에 따른 매수세가 유입되며 반등세를 이끌었다.
- 정책 기대감: 정부의 산업 지원 정책, 관세 협상, 차기 정부 출범 등 정책 변화에 대한 기대감이 투자 심리를 자극.
- 글로벌 불확실성 완화: 미국 증시 약세에도 불구하고 국내 시장은 자체 호재에 더 주목하며 차별화된 흐름을 보임.
- 변동성 관리: 글로벌 매크로 이슈(미국 금리, 환율, 무역협상 등)와 국내 정책 변화가 맞물리며 단기 변동성은 지속될 전망.
오늘의 시장을 읽는 키워드
- "원화 강세와 외국인 순매수, 정책 기대감이 맞물리며 대형주와 바이오, 원전, 인프라 등 정책 수혜 테마가 시장을 주도했다. 글로벌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국내 시장은 저가 매수세와 정책 모멘텀에 힘입어 반등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투자자들은 정책 변화와 글로벌 이슈의 균형을 주시하며, 변동성 속에서도 업종별 순환매와 정책 수혜 업종 중심의 매매 전략이 부각되고 있다."
결론적 시장 해석
오늘 쌍코피 시장은 원화 강세, 외국인·기관 순매수, 정책 기대감, 관세 협상 등 다양한 호재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동반 상승했다. 바이오, 원전, 인프라, 반도체 등 정책 및 산업 트렌드 수혜 업종이 시장을 주도했고, 저가 매수세 유입과 함께 투자 심리가 회복되는 흐름이 뚜렷했다. 글로벌 불확실성은 상존하지만, 국내 정책 모멘텀과 투자 주체별 매수세가 단기 시장을 지지하는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상한가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年05月23日>원자력_건설_패션_화장품_양자암호 (27) | 2025.05.23 |
---|---|
<2025年05月22日>Covid19_진단키트_마스크_탈모_화장품_백화점 (40) | 2025.05.22 |
<2025年05月20日>풍력_화장품_원자력_전력_철도_정치 (32) | 2025.05.20 |
<2025年05月19日>육계_코로나19_신재생_재건 (38) | 2025.05.19 |
<2025年05月16日>원자력_반도체_LNG_음식료_신재생 (20)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