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867.53(0.41%) 마감 / 코스닥 770.68 (0.85%) 마감
2025.06.10 상한가
정원엔시스
[특징주] 정원엔시스, 정부 AI 인프라 투자 수혜 기대감에 상한가 < 증권 < 금융 < 기사본문 - 서울와이어
애드바이오텍
애드바이오텍, 최대주주 변경…오레고보맙 글로벌 임상 3상 가속화 - 아시아경제
오가닉티코스메틱
[특징주] 오가니티코스메틱, 한한령 해제 기대감에 상한가 직행 < 증권 < 금융 < 기사본문 - 서울와이어
다날
[특징주] 다날 급등, “스테이블코인 시대 열리나” 국내 최초 가상화폐 결제 상용화 ‘부각’ < 시세/공시 < 증권 < 기사본문 - 와이드경제
미투온
[특징주] 미투온, 애플·X 주목한 美서클 USDC 활용 부각 강세 - 아시아경제
테마별 주요 동향
K2전차 사상 최대 규모의 수출계약 임박(폴란드 2차)소식에 한화시스템(20.09%) 풍산(16.67%) 현대로템(9.71%) 한화에어로스페이스(6.36%) 한국항공우주(6.02%)
국내 스테이블 코인 제도화 논의 소식과 비트코인 상승에 다날(29.90%) 우리기술투자(20.08%) 카카오페이(15.96%) 헥토파이낸셜(10.69%) 아이티센글로벌(10.04%)
中 외국 우수 영화 도입 시사 및 정부 웹툰 산업 육성 기대감에 미스터블루(15.92%) 스튜디오드래곤(13.59)% CJ ENM(12.35%) 팬엔터테인먼트(11.94%) 콘텐트리중앙(10.40%)
美 당뇨학회에서 국내 주요기업 비만치료제 임상 결과 공개 기대감에 펩트론(20.22%) 한미약품(7.86%) 인벤티지랩(6.97%) 디앤디파마텍(6.24%) 블루엠텍(5.00%)
HD현대중공업 2.4조원 규모 수주 및 한화 오스탈 지분 인수 美 정부 승인 소식에 세진중공업(7.27%) 한화오션(4.37%) HD한국조선해양(4.35%) 한화엔진(4.08%) 삼성중공업(3.60%)
美 서클 USDC를 통한 P2E 게임 활용 가능성에 컴투스홀딩스(12.14%) 넵튠(11.49%) 넷마블(9.67%) 고스트스튜디오(8.11%) 네오위즈(2.52%)
[TTP] TODAYS TOP POINT
1. 시장 전반의 흐름: '허니문 랠리'와 상승 모멘텀
- 코스피와 코스닥은 새 정부 출범에 대한 기대감으로 '허니문 랠리'가 5일째 이어지며 연고점을 경신하는 강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 코스피는 장중 2,870선을 돌파하며 1% 내외의 상승률을 기록했고, 코스닥 역시 770선 진입을 시도하며 동반 강세를 나타냈다.
- 외국인 투자자들의 연속적인 순매수세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개인 투자자도 매수세에 동참하는 모습이다. 반면, 기관은 차익 실현 및 순매도에 나서며 수급의 균형을 맞추고 있다.
- 최근 급등에 따른 부담감이 일부 존재하지만, 정책 기대감과 원화 강세, 외국인 수급 유입 등으로 인해 상승 흐름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2. 매크로 환경 및 글로벌 영향
- 미국 증시는 기술주 및 AI·빅테크 중심의 강세에 힘입어 2주 연속 상승하며 글로벌 투자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 미국 고용지표 호조, 미·중 무역 대화 기대감 등도 국내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 다만,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되고, 향후 관세 변수(트럼프 행정부 정책 등)와 같은 글로벌 리스크 요인도 잠재적으로 존재한다.
3. 핵심 테마 및 섹터별 흐름
반도체·AI 관련주 주도
- AI 반도체 수요 확대 및 글로벌 AI 칩 시장 강세에 힘입어 국내 반도체 섹터가 시장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 이는 미국 주요 AI 기업 주가 상승과 동조화된 흐름이다.
- 외국계 증권사들이 국내 반도체 대형주의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는 등 긍정적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SOC·건설·인프라 테마 강세
- 총선 이후 재정 확대 및 지방 SOC(사회간접자본)·재개발 기대감이 부각되면서 건설, 건자재, 시멘트, 강관, 기계 등 인프라 관련주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 정부의 경기 부양책과 2차 추가경정예산 기대감도 이들 테마의 모멘텀을 강화하고 있다.
방산·수출주 테마 부각
- 대형 방산 수출 계약 임박 소식 등으로 방위산업 섹터가 강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글로벌 지정학적 이슈와 맞물려 수출 성장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다.
소비재·유통 테마 변동성 확대
-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관련 정책 이슈로 인해 유통·소비재 섹터에서 단기 급등락이 나타나고 있다.
- 정책 변화에 따라 관련 업종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바이오·헬스케어, 신산업 성장주
- 코스닥 시장에서는 바이오, 헬스케어, 신기술(3D 프린팅 등) 관련주가 강세를 보이며, 개인 투자자 중심의 매수세가 두드러진다.
4. 수급 및 자금 흐름
- 외국인 투자자들은 원화 강세, 정책 기대감, 국내 대형주 매력 부각 등으로 인해 5일 연속 순매수를 이어가고 있다.
- 개인 투자자는 코스닥 시장에서 적극적인 매수세를 보이며, 기관은 코스피 시장에서 차익 실현 중심의 매도세를 나타내고 있다.
- 기준금리 인하로 예금금리가 낮아지면서, 유동성이 주식 및 부동산 시장으로 이동하는 흐름이 뚜렷하다.
5. 시장 심리 및 단기 전망
- 새 정부의 정책 기대감, 추가 경기부양책, 글로벌 AI·기술주 강세 등으로 투자심리가 매우 긍정적으로 전환된 상태다.
- 거래대금은 2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며, 시장의 활력이 극대화되고 있다.
- 그러나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 글로벌 정책 변수, 관세 이슈 등은 단기 조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전문가들은 정책 모멘텀과 외국인 수급이 유지되는 한 상승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나, 단기적으로는 변동성 확대와 조정 가능성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시장을 읽는 핵심 문구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 기대감과 글로벌 AI·반도체 호황,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수세가 맞물리며 국내 증시는 연고점을 경신하는 강세장을 연출하고 있다. 인프라·방산·신산업 등 정책 및 수출 모멘텀 테마가 시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단기 급등에 따른 부담과 글로벌 변수에 따른 변동성 확대 가능성도 공존한다. 유동성 이동, 정책 방향성, 글로벌 수급 동향이 당분간 시장의 핵심 키워드가 될 전망이다."
'상한가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年06月12日>원자력_남북경협_정유_조선_건설 (32) | 2025.06.12 |
---|---|
<2025年06月11日>신재생_반도체_STO_자율주행_COVID19_원자력 (28) | 2025.06.11 |
<2025年06月09日>NFT_AI_지주사_증권사_창투사_전력_소비주 (39) | 2025.06.09 |
<2025年06月05日>원자력_정책_남북경협_반도체_유리기판_보험 (19) | 2025.06.08 |
<2025年06月04日>금융_AI_반도체_로봇_지역화폐_STO (40) | 2025.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