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한가 분석

<2025年07月04日>스테이블코인_저출산_국내상장중국기업

by 쌍코피_상한가 2025. 7. 5.

2025.07.04 코스피&amp;코스닥 지수
2025.07.04 쌍코피 지수

코스피 3,054.28 (-1.99%) 마감 / 코스닥 775.80 (-2.21%) 마감

2025.07.04 상한가

글로벌에스엠

글로벌에스엠, 세계 각지 생산기지로 전자·자동차 부품 시장 공략 < 증권·IB < 금융·증권 < 기사본문 - 핀포인트뉴스

이스트아시아홀딩스

이스트아시아홀딩스, '주식병합' 효과 이어져…'上'[특징주]

씨엑스아이

중소형 지주사株도 수혜 받나…씨엑스아이 '上'[특징주]

로스웰

전기차 관련주, '덩실덩실' 로스웰·글로벌에스엠·강원에너지·삼기·한빛레이저·인팩... '한숨' 에코플라스틱·삼기에너지솔루션즈 < 핫이슈 < 사회 < 기사본문 - 현대경제신문

오가닉티코스메틱

엔젤산업 관련주, '나비처럼 훨훨 날아' 오가닉티코스메틱·헝셩그룹·에르코스·웅진씽크빅·아가방컴퍼니... '비실비실' 오로라 < 핫이슈 < 사회 < 기사본문 - 현대경제신문

테마별 주요 동향

기업들의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권 출원 소식에 다날(22.75%) 미투온(17.65%) 더즌(8.32%) 뱅크웨어글로벌(8.25%) 폴라리스오피스(5.83%)

저출산 고령 대책에 총 100조원 투입 및 저출산위원회 권한 강화 소식에 에르코스(21.10%) 헝셩그룹(14.22%) 웅진씽크빅(6.56%) 캐리소프트(5.29%) 아가방컴퍼니(3.51%) 

 

한중 정상회담 기대감과 상법 개정안 기대감에 이스트아시아홀딩스(29.67%) 씨엑스아이(29.58%) 오가닉티코스메틱(29.58%) 로스웰(29.87%) 글로벌에스엠(29.81%)

 

개별이슈로는 뉴엔AI(156%) 강원에너지(25.55%) LG헬로비전(17.76%) 오가노이드사이언스(10.41%) 한국가스공사(8.11%) 

[TTP] TODAYS TOP POINT

1. 시장 전반의 분위기와 투자심리

국내 증시는 미국발 관세 이슈와 전일의 상승분에 대한 차익 실현 심리가 겹치며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2% 내외의 급락세를 기록했다.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서한 발송 예고에 따른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 그리고 전일 통과된 상법 개정안 이슈의 소멸로 인한 재료 부족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가 두드러졌고, 개인 투자자만이 방어적으로 매수에 나서는 모습이 연출됐다.

  • 코스피: -1.99% 하락, 3,054.28 마감
  • 코스닥: -2.21% 하락, 775.80 마감
  • 수급: 외국인·기관 매도, 개인 매수 우위
  • 투자심리: 관망 및 리스크 회피 심리 극대화, 단기 변동성 확대

2. 글로벌 이슈와 국내 시장 영향

  • 미국발 관세 리스크: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율 서한 발송을 예고하며, 최대 70%에 달할 수 있다는 관세율 전망이 시장에 충격을 주었다. 국내 수출주와 글로벌 공급망에 대한 우려로 이어지며 투자심리를 급격히 위축시켰다.
  • 상법 개정안 이슈 소멸: 전일 통과된 상법 개정안(지주회사 자회사 지분율 요건 강화 등) 관련 기대감이 소멸되며, 관련 테마에서 차익 실현 매물이 대거 출회했다.
  • 미국 증시 영향: 전일 미국 증시는 고용 및 서비스업 지표 개선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으나, 국내 시장에는 관세 이슈가 더 크게 작용했다.

3. 주요 테마별 흐름

3-1. 상승 테마

  • 출산장려정책/엔젤산업: 정부의 100조 원 규모 저출산·고령화 대책 발표와 컨트롤타워 권한 강화 전망에 힘입어 관련 테마가 강세를 보였다. 인구구조 변화와 정책 수혜 기대감이 시장에 반영되었다.
  • 국내 상장 중국기업: 한중 정상외교 기대감과 더불어, 트럼프의 중국 압박 발언에 따른 반사이익 기대감이 부각되며 국내 상장된 중국기업 테마가 폭등했다. 다만, 투기적 수급이 강하게 유입되어 변동성이 매우 컸다.
  • 카지노: 2분기 실적 서프라이즈 기대감이 지속되며 일부 카지노 테마가 강세를 보였다.
  • 스테이블코인 및 일부 가상자산 테마: 개별 기업 호재와 함께 디지털 자산 관련 테마가 단기적으로 부각되었다.
  • 차세대 원전(SMR), 차세대 배터리: 정책 지원 기대감과 기술 혁신 이슈로 일부 신성장 테마가 강세를 보였다.

3-2. 하락 및 약세 테마

  • 지주사, 금융, 조선, 방산, 2차전지, 반도체: 전일 강세를 이끌었던 주도 테마들이 동반 급락했다. 상법 개정안 이슈 소멸과 관세 리스크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 제약/바이오, 화장품, 필수소비재, 건설, 기계장비: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업종과 코스피 주요 업종 대부분이 약세를 보였다.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와 수출주 약세가 동반되었다.
  • 알뜰폰, 일부 통신: 통신업계 이슈(위약금 면제 등)로 관련 테마가 하락했다.

3-3. 계절 및 단기 이슈 테마

  • 여름가전: 주말 폭염 예보에 따라 계절성 수요가 반영되며 단기 강세를 보였다.
  • 신규 상장주: 일부 신규 상장주가 상장 첫날 급등하며 시장의 단기 투기 심리를 자극했다.

4. 시장의 자금 흐름과 특징

  • 돈의 이동: 지수 하락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자금은 사라지지 않고, 단기적으로 테마와 이슈 중심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모습이 두드러졌다. 변동성 장세 속에서 단기 수급이 집중되는 테마와, 차별화된 개별 이슈가 시장을 주도했다.
  • 투자자별 전략: 외국인과 기관은 리스크 회피 및 차익 실현에 집중했고, 개인 투자자는 방어적 매수세로 대응했다. 단기 트레이딩 중심의 시장 흐름이 강화되었다.

5. 시장을 읽는 핵심 문구

"폭풍 속에서도 노련한 선장은 항로를 찾는다. 시장의 돈은 사라지지 않는다. 단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빠르게 이동할 뿐이다. 변동성은 위기이자 기회다. 오늘의 하락은 내일의 새로운 테마와 기회를 예고한다. 정책, 글로벌 이슈, 계절성 수요, 그리고 단기 투기 심리가 교차하는 이 장세에서, 진정한 투자자는 테마의 본질과 자금의 흐름을 읽어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