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한가 분석

<2025年04月16日>AI_의료_화장품_정치

by 쌍코피_상한가 2025. 4. 16.

2025.04.16 코스피&amp;코스닥 지수
2025.04.16 쌍코피 지수

 

  • 코스피는 전일 대비 -1.21% 하락한 2,447.43에 마감하며 약세를 이어갔다.
  • 코스닥전일 대비 -1.80% 내린 699.11에 마감, 700선을 다시 무너뜨렸다.

2025.04.16 상한가

대한제당

대한제당우

대한제당, 5년만에 공모채 시장 복귀…전략 변화 눈길 - 딜사이트

주성코퍼레이션

주성코퍼레이션 주가 날라가네...통신 넘어 제지·유통까지, 주성코퍼레이션,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 '눈길' < 증권·IB < 금융·증권 < 기사본문 - 핀포인트뉴스

상지건설

[특징주] 상지건설은 16%↑·형지글로벌은 15%↓…이재명 테마주 `요지경` - 디지털타임스

CMG제약

CMG제약 조현병약 '메조피' 재수 FDA 허가

시너지이노베이션

미생물 배지 강자 시너지이노베이션 주가 떡상... 외국인은 4거래일 연속 '왕성한 식욕' < 증권·IB < 금융·증권 < 기사본문 - 핀포인트뉴스

메이슨캐피탈

메이슨캐피탈 주가 불기둥... 시설대여·할부금융 넘어 미얀마 소액대출 진출 < 공기업·지자체 < 정치·경제 < 기사본문 - 핀포인트뉴스

케어랩스

[ET라씨로] 원격진료 합법화 기대감에… 케어랩스 · 인성정보 급등 - 전자신문

SKAI

[특징주] SKAI, 관계사 SKAI인텔리전스의 엔비디아 협력 소식에 - 컨슈머타임스(Consumertimes)

포바이포

'퓨리오사AI 관련주' 포바이포, 정책 수혜 기대 지속…10%[특징주]

에스지헬스케어

에스지헬스케어 주가 고공행진... 자체 개발 AI 'IAI' 공개 의료 진단 정확도 UP 기대 < 증권·IB < 금융·증권 < 기사본문 - 핀포인트뉴스

테마별 주요 동향

민주당에서 리걸테크_디지털 헬스케어 등 전문직역 AI 서비스 선택 소식에 케어랩스(29.84%) 인성정보(27.20%) 유비케어(13.31%) 블루엠텍(12.71%) 토마토시스템(5.87%)

 

대통령 후보 지지율 1위 해당자가 AI 정책 기대감을 지속적으로 풍기며 포바이포(29.98%) SKAI(29.80%) 심플랫폼(25.48%) 인스피언(18.75%) DSC인베스트먼트(7.27%) 

 

올해 의료미용기기업황 상저하고 흐름 전망에 시너지이노베이션(29.94%) 에스지헬스케어(29.84%) 휴온스글로벌(10.92%) 아스테라시스(7.47%) 세운메디칼(5.52%) 

 

화장품 업황 호조 및 1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 전망에 에스엠씨지(12.32%) 브이티(5.50%) 코디(4.82%) 에이피알(3.95%) 펌텍코리아(3.41%) 

 

한덕수 총리의 광폭 행보가 눈에 띕니다. 트럼프도 '직접 만남을 희망' 한다는 메시지도 응수해 줌에 따라서 대한제당(29.93%) 유니크(16.83%) 아이스크림에듀(15.58%) 시공테크(14.31%) 창해에탄올(11.03%) 

 

개별이슈로는 CMG제약(29.95%) CBI(25.26%) 코칩(20.68%) 뉴보텍(17.52%) 3S(15.16%) 

그 밖의 오늘 이슈 정리

1. 시장 전반의 분위기와 주요 이슈

2025년 4월 16일, 코스피와 코스닥 양대 시장 모두 뚜렷한 하락세로 마감했다. 코스피는 1%대, 코스닥은 1.8%의 낙폭을 기록하며 투자 심리가 위축된 모습을 보였다. 시장 전반에 걸쳐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가 두드러졌고, 개인 투자자만이 순매수에 나서며 방어에 힘을 쏟았다. 이러한 흐름은 최근 글로벌 경제 환경, 특히 미·중 무역갈등 심화와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 등 대외 변수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2. 대외 변수와 글로벌 영향

  • 미·중 무역갈등 심화: 미국이 중국을 겨냥한 반도체 수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국내 반도체 업종에 대한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됐다. 이는 코스피 시가총액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반도체 업종의 하락으로 이어져, 전체 지수에 하방 압력을 가했다.
  • 글로벌 증시 연동: 전일 미국 뉴욕증시도 미·중 무역 이슈로 약세를 보였고, 유럽 주요국 증시 역시 혼조세를 나타냈다. 국내 증시 역시 이러한 흐름에 동조하며 하락폭을 키웠다.

3. 수급 동향

  • 외국인·기관 매도세: 외국인은 4 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기록하며, 이날도 대규모 매도세를 이어갔다. 기관 역시 동반 매도에 나서며 시장의 하락세를 부추겼다. 개인 투자자만이 순매수로 대응했으나, 전체적인 하락 흐름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 거래대금 및 거래량: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거래대금이 6조 원대를 기록하며, 활발한 거래 속에서 매도세가 우위를 점했다.

4. 업종 및 테마별 흐름

A. 반도체·IT

  •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로 인해 반도체 및 IT 관련 테마는 강한 하락 압력을 받았다.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와 수출 제한 이슈가 부각되며,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되었다. 이는 시장 전체의 하락을 이끄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B. 정책·정치 테마

  • 정책 관련 테마주는 일부 강세를 보였다. 특히 원격의료, AI 등 정부 정책과 대선 공약에 연관된 테마들이 시장에서 주목받았다. 더불어민주당 중소기업특별위원회의 원격의료 정책 제안 등 정책 모멘텀에 힘입어 관련 테마가 급등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C. AI·로봇

  • AI와 로봇 테마는 최근까지 시장을 주도했으나, 이날은 차익실현 매물과 업종 전반의 조정 영향으로 약세를 보였다. 다만, AI 산업 지원 등 정책 기대감은 여전히 유효해, 시장의 관심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D. 바이오·의료기기

  • 바이오와 의료기기 업종은 혼조세를 보였다. 일부 바이오 관련 테마는 기술이전, 신약 개발 등 개별 이슈로 강세를 보였으나, 시장 전체의 하락 흐름에 동조하며 약세로 돌아선 종목도 많았다. 의료·정밀기기 업종은 상대적으로 선방하며 일부 상승세를 기록했다.

E. 화장품·내수

  • 화장품 및 내수 관련 업종은 관세 이슈의 반사이익과 소비자 사재기 심리 등으로 일부 강세를 보였다. 특히, 미국 수출 관련 기대감이 부각되며 단기적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F. 방산·안보

  • 방산 테마는 지정학적 긴장감 고조와 맞물려 강세를 보였다. 최근 글로벌 안보 이슈가 부각되면서, 관련 테마가 시장에서 방어적 역할을 했다.

5. 시장 심리 및 투자 전략

  • 투자심리: 전반적으로 투자심리는 위축된 상태이나, 일부 테마에서는 정책 기대감과 개별 호재에 따른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다. 코스닥은 개인 주도 시장답게 외부 변수에 대한 충격이 상대적으로 적었으나, 이날은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에 밀려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 단기 조정과 기회: 최근 반등폭이 컸던 만큼, 단기적인 조정은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많다. 그러나 시장의 근본적인 투자심리는 크게 나쁘지 않아, 조정 구간을 눌림목 매수의 기회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특히 코스닥은 바닥 대비 11% 상승한 후 조정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된다.

6. 테마별 요약

테마4월 16일 시장 흐름 및 특징
반도체/IT 미·중 무역갈등, 미국 수출 규제 직격탄, 투자심리 위축, 하락세 주도
정책/정치 원격의료, AI 등 정책 테마 일부 강세, 대선 공약 모멘텀 부각
AI/로봇 최근 주도 테마였으나 차익실현 및 조정, 정책 기대감은 여전
바이오/의료기기 개별 호재로 강세 종목 있으나 전반적으론 혼조, 의료기기 일부 업종 선방
화장품/내수 관세 반사이익, 미국 수출 기대감, 일부 강세
방산/안보 지정학 리스크 부각, 방산 테마 강세

7. 시장을 읽는 한마디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가 시장 하락을 이끌었으나, 정책·정치 테마와 일부 내수 업종은 방어력을 보였다. 단기 조정이 불가피한 구간이나, 시장의 근본적 투자심리는 견조하며, 조정 시 눌림목 매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 대외 변수에 따른 변동성 확대 속에서 테마별 차별화가 심화되고 있다. 주도 테마의 순환과 정책 이슈에 주목하며, 시장의 큰 흐름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