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는 2,470선에서 강세로 마감하며 전일 대비 0.94% 상승했고, 코스닥 역시 1.81% 오르며 710선을 회복했다.
2025.04.17 상한가
흥국화재우
흥국화재우 상한가 도달하며 전일 낙폭 만회 - 정수현 기자 - 톱스타뉴스 - 경제/핫토픽
티와이홀딩스우
[오늘의 코스피 · 4월 17일] 금일 상승주 TOP 10… 1위 티와이홀딩스우 < 금융 < 기사본문 - 뉴스브라이트
상지건설
2주 만에 10배 뛴 상지건설…정치 테마주 '과열 주의보' < 증권 < 기사본문 - 연합인포맥스
미스터블루
[특징주] 미스터블루 급등, 이재명 “웹툰 도서관 방문” K-콘텐츠 육성 공약에 웹툰주 줄줄이 강세 < 시세/공시 < 증권 < 기사본문 - 와이드경제
아이스크림에듀
[특징주] 한덕수 테마주 '강세'… 아이스크림에듀·대한제당 등 '상한가' - 머니S
엑스페릭스
[특징주] 엑스페릭스 상한가, 美 기업과 AI 특허 솔루션 '독점 계약' AI 판 키운다 < 시세/공시 < 증권 < 기사본문 - 와이드경제
포바이포
포바이포·토마토시스템, 퓨리오사AI 새 소식에 연일 강세 < 종합 < 경제 < 기사본문 - 국제뉴스
대성하이텍
[특징주] 대성하이텍, 150억원 규모 CB 발행에 상한가 - 조선비즈
시지트로닉스
시스템반도체 관련주, '봄바람 살랑살랑' 엠디바이스·아이언디바이스·한미반도체·시지트로닉스·아이씨티케이 < 핫이슈 < 사회 < 기사본문 - 현대경제신문
테마별 주요 동향
추론 가속기 출시 및 제 1 야당 대선 후보 방문 모멘텀이 지속되면서 엑스페릭스(29.91%) 포바이포(29.97%) TS인베스트먼트(26.99%) 토마토시스템(12.03%) DSC인베스트먼트(3.33%)
제 1 야당 대선 후보 K방산 정책 공약 소식에 대성하이텍(29.95%) 삼현(29.05%) 포메탈(10.58%) RF시스템즈(9.04%) 현대로템(8.81%)
중국 한한령 해제 기대감이 지속되며 잉글우드랩(16.25%) 에스엠씨지(13.89%) 선진뷰티사이언스(8.40%) 브이티(5.94%) 실리콘투(5.21%)
한한령 해제 기대감이 부풀어 오를수록 중국 시장 성장이 열려있다는 설레임에 큐브엔터(15.86%) 디어유(10.76%) 에스엠(7.21%) 노머스(5.97%) YG PLUS(4.59%)
태양광 소재 미국 관세 면제 소식이 전해지며 OCI홀딩스(15.66%) 한화솔루션(10.50%) OCI(6.37%) HD현대에너지솔루션(4.87%) 신성이엔지(4.53%)
그 밖의 오늘 이슈 정리
1. 시장 전체 흐름 요약
2025년 4월 17일 국내 증시는 글로벌 변수와 국내 정책 이슈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뚜렷한 반등 흐름을 보였다. 장 초반에는 미국 증시 급락과 미중 무역갈등 우려, 반도체 약세 등 부정적 외부 요인이 반영되어 제한적인 강세를 보였으나, 오후 들어 상승폭이 확대되었다. 기관투자자가 코스피 시장에서 대규모 순매수를 기록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고, 외국인은 매도 우위를 보였다. 코스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가 두드러졌다.
2. 글로벌·정책 변수와 시장 영향
- 미중 무역갈등 및 미국 관세 정책: 미국과 중국 간 무역 마찰 우려가 지속됐으나, 미국이 일부 IT·반도체 관련 품목에 대한 관세 부과를 제외하며 관세 리스크가 완화되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일본과의 관세 협상 진전 소식도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2.75%)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되어 오후 들어 투자심리가 개선됐다.
- 정치·정책 테마 부각: 국내 정치권의 정책 행보, 특히 차기 대선 후보의 행보와 정책 발표가 테마주 순환매를 촉진했다. AI, 방산, 웹툰 등 정책 수혜 기대 업종이 강세를 보였다.
3. 주요 테마별 시장 흐름
반도체 및 IT
- 미국의 관세 정책 완화와 글로벌 반도체 수요 기대감에 힘입어 반도체 업종이 반등했다. 최근 낙폭이 컸던 만큼 저점 매수세가 유입되며 업종 전반이 강세를 보였다.
- IT와 2차전지, 자동차 등 대형 성장주 역시 투자심리 회복에 따라 동반 강세를 나타냈다3.
방위산업·국방
- 대선 후보의 국방과학연구소 방문 등 정책 이슈와 함께 국가전략기술 지정 기대감이 부각되며 방위산업 테마가 강하게 움직였다.
-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와 정부의 방산 육성 기조도 테마 강세에 일조했다.
바이오·제약
- 미국 FDA 품목허가 등 글로벌 호재와 정책 지원 기대감이 맞물리며 바이오·제약 테마가 강세를 보였다. 다만 일부 종목은 차익실현 매물로 변동성도 컸다.
AI·데이터·정책 수혜주
- 정부의 AI·데이터·비대면 진료 등 신산업 육성 정책이 지속적으로 부각되며 관련 테마에 순환매가 이어졌다. AI+제조, AI+에너지 등 융합형 테마가 특히 주목받았다.
- 미국 기업과의 AI 특허 계약 등 글로벌 협력 이슈도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K-콘텐츠(웹툰·엔터)
- 정부의 웹툰 산업 지원 확대, K-콘텐츠 육성 정책 기대감에 힘입어 웹툰, 콘텐츠, 엔터테인먼트 테마가 강세를 보였다.
- 대형 플랫폼 기업과의 협업, 정책 수혜 기대감이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뷰티·화장품
- K-뷰티의 글로벌 인기 지속과 중국 소비 회복 기대감이 맞물리며 뷰티·화장품 테마가 상승세를 탔다. 정책 및 외부 변수에도 불구하고 내수·수출 동반 호조가 부각됐다.
정치·선거 관련 테마
- 보수 지지율 상승, 대권 판도 변화 등 정치 이슈가 시장 내 테마 순환매를 촉진했다. 정책 변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관련 테마의 변동성을 키웠다.
기타 테마
- 희토류, MLCC, 에너지, 스포츠, CB(전환사채) 발행 등 단기 이슈에 따라 개별 테마가 강하게 움직였다.
4. 투자심리 및 자금 흐름
- 기관 중심 매수세: 코스피에서는 기관투자자의 대규모 매수세가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외국인은 매도 우위였으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의 매수세가 일부 포착되며 단기 방향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 코스닥 자금 유입: 코스닥 시장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로 1.8%대 강세를 기록했다. 정책 수혜 기대, 신성장 테마에 대한 자금 유입이 두드러졌다.
5. 시장을 읽는 핵심 문구
“글로벌 무역갈등과 정책 변수 속에서도 국내 증시는 관세 리스크 완화, 정책 기대감, 기관 매수세에 힘입어 반등에 성공했다. 반도체·AI·방산·바이오 등 신성장 테마와 정책 수혜 업종을 중심으로 순환매가 활발히 전개되며, 변동성 국면 속에서도 테마별 주도주가 부각되는 시장이 이어지고 있다. 정책·정치 이슈와 글로벌 변수의 교차 속에, 단기적 테마 순환과 중장기 성장주에 대한 저점 매수세가 시장의 중심을 형성하고 있다.”
6. 결론 및 전망
-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관세 정책, 미중 갈등, 정책 수혜 기대감 등 외부 변수와 국내 이슈가 맞물리며 변동성 장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 정책, 신성장 산업, 글로벌 협력 등 테마별 순환매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기관 중심의 매수세가 시장을 견인하는 구도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 변동성 확대 구간에서 정책 수혜주, 신성장 테마, 저점 매수 기회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
'상한가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年04月21日>AI_ 세종시_ STO_저출산_반도체 (64) | 2025.04.21 |
---|---|
<2025年04月18日>정치_AI_세종_의료_원전 (40) | 2025.04.18 |
<2025年04月16日>AI_의료_화장품_정치 (60) | 2025.04.16 |
<2025年04月15日>LNG_로봇_정치_음식료_전선_자동차 (61) | 2025.04.15 |
<2025年04月14日>AI_희토류_창투사_LNG_반도체 (71)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