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한가 분석

<2025年05月08日>화장품_의료기기_비만치료제_신재생_정치_탄소중립

by 쌍코피_상한가 2025. 5. 8.

2025.05.08 코스피&amp;코스닥 지수
2025.05.08 쌍코피지수

코스피 2,579.48 (0.22%) 마감 / 코스닥 729.59 (0.94%) 마감

2025.05.08 상한가

상지건설

‘이재명 테마’로 대박 예고한 상지건설 CB... 투자자 리스트에 기업사냥꾼도 있다 - 조선비즈

대호특수강

대호특수강우

[특징주] 대호특수강, 기후정책 대선 공약에 수혜 기대감 유입 < 증권 < 금융 < 기사본문 - 서울와이어

에코아이

에코아이,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에 '上'[특징주]

블루엠텍

[특징주]위고비 열풍에 유통매출 500% 성장…블루엠텍 24%↑ - 아시아경제

평화홀딩스

평화홀딩스·평화산업·대영포장, 김문수 기자회견 후 관련주 강세 < 종합 < 경제 < 기사본문 - 국제뉴스

 

테마별 주요 동향

中 시장 회복세 소식과 美 관세 영향 제한적 분석 및 주요 화장품 업체 최대실적 소식에 에이피알(28.80%) 삐아(13.92%) 코스맥스(12.44%) 실리콘투(11.32%) 제이준코스메틱(10.82%) 

 

이재명 후보가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연령 하향 조정 등 어르신 공약 소식에 메타바이오메드(24.27%) 한국피아이엠(18.56%) 하스(16.98%) 에스지헬스케어(9.50%) 알파녹스(8.58%) 

 

노보 노디스크 1분기 호실적 소식에 블루엠텍(29.98%) 큐라티스(20.95%) 라파스(8.12%) 대화제약(7.69%) 펩트론(4.72%)

 

이재명 후보가 경제 5단체장 간담회에서 재생에너지 육성 발언 소식이 알려지자 씨에스윈드(10.87%) 유니슨(9.99%) 지앤비에스 에코(6.35%) 한화솔루션(5.75%) 그리드위즈(5.16%)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교착 속 일부 김문수 관련 테마가 움직임이 포착됨. 평화홀딩스(29.86%) 평화산업(18.74%) 대영포장(6.07%) 옵티시스(4.51%) 세원물산(2.63%)

 

이재명 후보 직속으로 기후 위기 대응위원회 공식 출범 소식이 전해지자 에코아이(30.00%) 에어레인(7.08%) 그린케미칼(7.05%) 한텍(5.18%) 두산퓨얼셀(4.43%) 

 

오늘의 정리

시장 전반 요약

  •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상승 마감. 코스피는 2,579.48포인트(0.22%↑), 코스닥은 729.59포인트(0.94%↑)로 거래를 마쳤음.
  • 외국인 투자자의 순매수세가 시장 상승을 견인. 코스피에서 외국인은 약 1,300억 원, 코스닥에서 약 880억 원 순매수. 반면 기관과 개인은 순매도.
  • 장중 한때 상승폭이 컸으나, 오후 들어 일부 차익실현 및 매물 출회로 상승폭이 제한됨.

주요 테마 및 업종별 흐름

  • 순환매 장세
    업종별 실적과 이슈에 따라 종목별 순환매가 활발하게 나타남. 실적 발표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확대되고, 특정 업종에 대한 단기 집중 매수세가 관찰됨.
  • 강세 업종
    • 금속, 화학, 일반서비스: 금속(2.37%), 화학(2.03%), 일반서비스(1.79%) 등 경기민감 업종이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임. 이는 글로벌 경기 개선 기대, 원자재 가격 변동, 수출 회복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됨.
    • 의료정밀, 음식료, 기계장비, 증권: 경기방어적 성향과 실적 개선 기대가 반영되어 이들 업종 역시 강세.
  • 약세 업종
    • IT서비스, 운송/창고, 건설: IT서비스(-2.36%), 운송/창고(-1.15%), 건설(-1.00%) 등은 상대적으로 부진. IT서비스는 기술주에 대한 단기 조정, 건설은 부동산 경기 둔화 우려, 운송/창고는 물류비용 변동과 글로벌 교역 불확실성 등이 원인으로 지목됨.
    • 전기가스, 통신, 섬유의류: 경기방어 업종 일부도 약세 전환.

코스닥 시장 특징

  • 코스닥은 외국인 매수세와 함께 일반서비스, 유통, 건설, 기계장비 업종이 강세. 특히 일반서비스와 유통 업종 내 일부 종목의 급등이 시장 전체 상승을 견인.
  • 중소형주 중심의 순환매가 활발. 실적 개선 기대감이 있는 업종과 테마에 단기 자금 유입이 두드러짐.

시장 심리 및 투자자 동향

  • 외국인 매수세가 시장 방향성을 좌우. 기관과 개인은 이익실현 및 방어적 포지션을 취하며 순매도세.
  • 프로그램 매매에서는 차익거래 중심의 매수, 비차익거래에서는 매도 우위가 나타남. 이는 단기 변동성 확대와 연관.

주요 이슈 및 전망

  • 실적 시즌 효과: 1분기 실적 발표에 따라 업종별, 종목별 주가 변동성이 커짐. 실적 기대치가 낮아진 업종은 오히려 실적 발표 후 반등 가능성도 부각.
  • 글로벌 센티먼트: 해외 증시 흐름, 달러 강세/약세, 미 연준의 정책 스탠스 등 대외 변수에 대한 경계감이 상존.
  • 순환매 지속 전망: 단기적으로 실적·이슈 중심의 순환매 장세가 이어질 가능성. 투자자들은 실적 개선 기대가 높은 업종 및 테마에 대한 관심을 지속할 것으로 보임.

시장 흐름을 읽는 핵심 문구

"2025년 5월 8일 국내 증시는 외국인 매수세에 힘입어 강보합세를 이어갔으며, 업종별 실적과 이슈에 따라 순환매가 활발히 전개되는 장세가 연출됐다. 금속, 화학, 서비스 등 경기민감 업종이 두드러진 강세를 보인 반면, IT서비스, 건설, 운송 등 일부 업종은 조정을 받았다. 코스닥 역시 외국인 매수세와 함께 일반서비스, 유통, 기계장비 등에서 강한 상승이 나타났다. 실적 시즌과 글로벌 변수에 대한 경계 속에서, 단기적으로는 실적·이슈 중심의 순환매와 업종별 차별화가 심화되는 흐름이 지속될 전망이다."

요약

  • 외국인 매수세 주도, 실적·이슈 중심 순환매
  • 금속·화학·서비스 강세, IT·건설·운송 약세
  • 코스닥은 일반서비스·유통 등 중소형주 중심 강세
  • 실적 시즌·글로벌 변수 경계, 단기 순환매 지속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