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 2,559.79 (0.12%) 마감 / 코스닥 721.86 (0.64%) 마감
2025.05.02 상한가
일정실업
[오늘의 급등주] 한덕수 前 총리 대선 출마 선언에 일정실업 상한가|주간동아
동양우
동양우 상한가 마감, 전일 대비 29.98% 급등 - 정수현 기자 - 톱스타뉴스 - 경제/핫토픽
태영건설우
한덕수 대선출마 선언…일정실업·태영건설 등 관련주 강세 < e-trend 뉴스 < 기사본문 - 중앙이코노미뉴스
티와이홀딩스우
[특징주] 한덕수 테마주 ‘일정실업·티와이홀딩스우’, 대선 출마 소식에 상한가 - 아시아투데이
포메탈
포메탈, 장중 급등세 이어지며 3,950원 상한가 마감 - 정수현 기자 - 톱스타뉴스 - 경제/핫토픽
오늘이엔엠
[특징주] 오늘이엔엠, 코스닥시장 ‘벤처기업부’ 소속 변경 소식에 급등 < 증권 < 금융 < 기사본문 - 서울와이어
대보마그네틱
대보마그네틱, 상한가 도달…EMF 기술 부각? | 영남일보 - 사람과 지역의 가치를 생각합니다.
인벤티지랩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 부각…인벤티지랩 주가 불꽃랠리 < 증권·IB < 금융·증권 < 기사본문 - 핀포인트뉴스
테마별 주요 동향
MS_ META 실적 호조에 따른 AI 기대감 및 반도체 4월 수출 호조 소식에 마이크로투나노(15.90%) 이수페타시스(15.23%) 엠디바이스(10.82%) 두산(9.88%) SK하이닉스(4.79%)
한 전 총리 대선출마 공식 선언에 일정실업(30.00%) 포메탈(29.93%) 아이스크림에듀(21.02%) 태영건설(15.13%) 시공테크(12.26%)
먹는 비만치료제(경구제) 재부각되면서 인벤티지랩(29.92%) 큐라티스(23.10%) 라파스(15.04%) 디앤디파마텍(11.87%) 올릭스(10.17%)
정부에서 SKT에 신규 가입자 모집 전면 중단 행정 지도 소식에 반사이익이 기대되는 KTis(13.31%) 세종텔레콤(10.51%) LG헬로비전(6.46%) 아이즈비전(5.72%) KT(3.28%)
한화 방산3사가 칠레 방산 전시회 참가 속 남미 시장 개척 기대감에 한화시스템(6.92%) 엠앤씨솔루션(4.02%) 한국항공우주(3.02%) LIG넥스원(2.96%) 한화에어로스페이스(2.63%)
개별이슈로는 대보마그네틱(29.92%) 웅진(20.97%) 녹십자웰빙(20.05%) 토모큐브(19.00%) 와이투솔루션(15.60%)
오늘의 정리
1. 시장 전반의 흐름: 제한적 상승과 관망세
- 코스피는 2,550선에서 강보합세로 마감했다. 장 초반 약세에서 상승 전환했으나, 연휴를 앞둔 관망 심리로 인해 상승 폭은 제한적이었다.
- 기관이 순매수로 지수를 견인했으나, 개인과 외국인은 순매도세를 보였다. 외국인은 선물 시장에서도 매도 우위를 나타냈다.
- 코스닥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으며,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가 두드러졌다. 코스닥 시총 상위주는 대부분 상승했다.
2. 대외 변수: 미국 빅테크 호실적과 환율 안정
- 미국 빅테크 기업(애플, 아마존, 알파벳, 메타)의 1분기 호실적 발표와 메타의 대규모 자본지출 확대 소식이 국내 반도체 및 기술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국내 시장 전반에 훈풍을 불어넣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 중반까지 하락하며 안정세를 보인 점도 투자심리 개선에 기여했다.
3. 테마별 시장 흐름
반도체·AI 테마
- 미국발 호실적과 AI 투자 확대 기대감이 반도체 업종 전반에 강한 매수세를 유입시켰다. 이는 시장을 견인하는 핵심 동력으로 작용했다.
- AI, 데이터센터, 고성능 컴퓨팅 등 미래 성장동력에 대한 기대가 반도체 테마의 지속적 강세를 뒷받침했다.
정치 테마
- 대선 정국이 본격화되며 정치 테마주는 급등락을 반복했다. 주요 정치인 관련 테마주는 해당 인물의 뉴스나 사법 리스크, 출마 선언 등 이슈에 따라 극단적인 변동성을 보였다.
- 정치 이슈가 시장의 단기 변동성을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투자자들의 테마주 단기 매매 심리가 강화되는 모습이 두드러졌다.
원전·조선·방산 테마
- 체코 원전 수주 확정 소식 등으로 원전 및 조선, 방산 관련 테마가 강세를 보였다. 다만, 이미 4월부터 이어진 상승세로 인해 일부 차익실현 매물도 출회되었다.
- 글로벌 수주, 국방 강화, 에너지 정책 변화 등이 중장기 성장 모멘텀으로 인식되고 있다.
중국 관련(한한령 해제) 테마
- 중국의 한한령(한류 제한령) 해제 기대감이 엔터테인먼트, 화장품, 일부 소비재 테마에 강한 매수세를 유입시켰다. 엔터주와 화장품주가 동반 강세를 보였으나, 중국 당국의 공식 입장에 따라 변동성도 확대되었다.
- 중국 소비 회복 및 한류 확산 기대가 테마의 주된 동인으로 작용했다.
바이오·제약 테마
- 코스닥을 중심으로 바이오 및 제약 업종이 강세를 보였다. 글로벌 임상, 신약 개발, 수출 확대 기대감이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기타 업종별 흐름
- 음식료, 비금속 등 일부 내수주도 강세를 보였으나, 운송·창고, 기계·장비, 유통 등은 약세를 기록했다.
- 자동차 업종은 실적 및 글로벌 수요 둔화 우려로 하락세를 보였다.
4. 시장 심리와 투자 주체별 동향
- 연휴를 앞둔 관망세가 짙었으며, 단기 이벤트(정치, 글로벌 실적, 환율 등)에 따라 매매 주체별로 엇갈린 포지션이 나타났다.
- 기관과 외국인은 업종별로 선택적 매수·매도를 반복하며, 시장 전체의 방향성보다는 개별 테마와 종목별 이슈에 초점을 맞췄다.
5. 향후 시장 전망과 주요 변수
- 5월 시장은 관세 불확실성 완화,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 등 대외 변수에 민감하게 반응할 전망이다.
- 반도체, 조선, 방산, 화장품, 엔터 등 주도 테마의 강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나, 단기 급등에 따른 변동성 확대와 차익실현 매물 출회 가능성도 상존한다.
- 정치 이벤트와 글로벌 경제지표, 환율, 대외 정책 변화 등이 시장의 추가 방향성을 결정짓는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6. 시장을 읽을 수 있는 문구
"연휴 전 관망세와 대외 호재가 맞물리며, 시장은 제한적 상승 속에서 테마별 뚜렷한 온도차를 드러냈다. 반도체·AI, 원전·조선, 한중 해빙 기대, 정치 이슈 등 굵직한 테마가 시장을 이끌었으나, 단기 이벤트와 변동성에 대한 경계심도 공존했다. 투자자들은 주도 테마에 집중하면서도, 글로벌 흐름과 국내 정치·정책 변수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5월 시장은 대외 변수와 정책 변화에 따라 주도 섹터의 순환매와 변동성 확대가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
요약
- 연휴 전 관망세, 미국발 호재, 정치 이벤트 등 복합적 요인이 시장에 작용.
- 반도체·AI, 원전·조선·방산, 한한령 해제(엔터·화장품), 정치 테마, 바이오 등 주도 테마별로 뚜렷한 강세와 변동성.
- 기관 중심의 매수, 외국인·개인 매도 우위, 투자 주체별 포지션 차별화.
- 단기 이벤트와 대외 변수에 따라 테마별 순환매 및 변동성 확대 예상.
'상한가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年05月08日>화장품_의료기기_비만치료제_신재생_정치_탄소중립 (29) | 2025.05.08 |
---|---|
<2025年05月07日>방산_정치_지역화폐_정책_항공 (37) | 2025.05.07 |
<2025年04月30日>정치_정책_세종시_엔터_증권 (32) | 2025.04.30 |
<2025年04月29日>바이오인식_비만치료제_전력_저출산_엔터_뷰티 (43) | 2025.04.29 |
<2025年04月28日>유심_보안_양자암호_엔터_정치 (44) | 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