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92.09(-0.06%) 마감 / 코스닥 715.98 (-0.24%) 마감
2025.05.23 상한가
한세엠케이
[특징주] 외국인 관광객 증가에 K-패션株 강세…'한세엠케이·형지I&C' 급등
케이씨티
케이씨티, ‘CBDC 한강’ 실험 본격화…특수단말기 공급 이력 부각 [특징주] - 파이낸셜뉴스
에너토크
[특징주] 에너토크 상한가, "美 IRA 축소·원전 확대 행정명령" 겹호재에 '잭팟' < 시세/공시 < 증권 < 기사본문 - 와이드경제
테마별 주요 동향
트럼프 대통령의 원전 활성화 행정명령 서명 예정 소식에 에너토크(29.85%) 태웅(22.58%) 한신기계(19.45%) 한텍(18.52% 두산에너빌리티(6.67%)
K패션 매장 방문 외국인 관광객 증가 소식에 한세엠케이(29.94%) 형지I&C(16.63%) 감성코퍼레이션(15.53%) 지엔코(7.12%) 폰드구룹(5.60%)
중국 방문객 수요 증가에 중국 소비관련주인 제이투케이바이오(12.44%) 아센디오(11.54%) 달바글로벌(9.45%) 아모레퍼시픽(8.24%) 노머스(7.46%)
주택경기 회복에 따른 물량 증가 및 대선 이후 공급 정책 구체화 기대감에 현대건설(11.64%) DL이엔씨(9.05%) GS건설(7.72%) 대우건설(5.36%) HDC현대산업개발(4.27%)
미국 양자컴퓨팅 업체 주가 급등 영향에 딥마인드(8.48%) 쏘닉스(4.56%) 아톤(4.47%) 한국정보인증(4.14%) 엑스게이트(3.84%)
개별이슈로는 인투셀(95.29%) 케이씨티(29.85%) 알파녹스(23.37%) 코스텍시스(19.80%) 위더스제약(14.58%)
[TTP] TODAYS TOP POINT
시장 전체 흐름
국내 주식시장은 제한된 상승 탄력과 혼조세 속에 마감했다. 코스피는 장 초반 미국 국채 금리 하락과 글로벌 증시의 긍정적 영향으로 2,600선 회복을 시도했으나, 미국 금융시장 불안 심리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으면서 2,590대에서 약보합세로 마감했다. 코스닥은 장 초반 소폭 반등을 시도했으나 이내 약세로 전환, 전일 대비 소폭 하락 마감했다.
수급 및 투자 주체별 동향
- 외국인: 코스피 시장에서 순매수 전환이 있었으나, 장중에는 매도와 매수가 혼조를 보였다. 코스닥에서는 순매도 우위가 지속됐다.
- 기관: 차익 실현을 위한 매도세가 이어졌으며, 전체적으로 매도 우위.
- 개인: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에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방어적 역할을 수행.
시장에 영향을 준 국내외 이슈
1. 미국 금융시장과 금리
- 미국 20년물 국채 입찰에서 고금리가 형성되며 글로벌 증시 변동성이 확대됐다. 이에 따라 연준의 금리 인하 지연 우려, 재정적자 확대, 신용등급 강등 등 대외 불확실성이 국내 증시에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 전일 미국 증시가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 마감하며 국내 투자 심리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했으나, 장중 미 국채금리 상승과 관련된 우려가 다시 부각되며 지수 상단을 제한했다.
2. 국내 정치 및 정책
- 대선 후보 2차 TV토론 등 정치적 이벤트로 인한 불확실성 완화가 투자 심리 개선에 일부 기여했다.
3. 코로나19 재확산
-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재확산되면서 관련 진단키트, 치료제, 백신 등 방역 테마가 단기적으로 부각됐다. 이는 일부 종목군에 단기 매수세 유입을 촉진했으나, 시장 전체의 질적 확장보다는 단기 트레이딩 성격이 강했다.
섹터 및 테마별 흐름
1. 반도체 및 IT
- 글로벌 반도체 업황에 대한 기대와 미국 증시 기술주 강세의 영향으로 반도체 및 IT 관련주에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 시장 방어 역할을 했다.
- 그러나 장중 변동성 확대와 외국인·기관 매도 전환으로 상승세가 제한됐다.
2. 자동차 및 2차전지
- 자동차 업종은 글로벌 수요 회복 기대와 함께 강세를 보였다. 2차전지 관련주는 최근 과열 조정 이후 저점 반등 시도가 있었으나, 일부 종목의 차익 실현 매물 출회로 혼조세를 보였다.
3. 금융
- 은행, 보험 등 금융주는 금리 상승에 따른 이익 기대감으로 상대적 강세를 나타냈다.
4. 바이오·제약
- 코스닥 시장에서는 바이오·제약 섹터가 기술적 반등세를 보였다. 특히, 낙폭 과대 종목군 중심으로 단기 매수세가 유입됐다. 신규 상장 바이오 기업의 강세도 두드러졌다.
- 다만, 전반적으로 시장의 주도 테마로 자리 잡기보다는 단기 반등 성격이 강했다.
5. 방역·진단키트
- 동남아 코로나19 재확산 소식에 따라 진단키트, 치료제, 백신 등 방역 테마가 단기적으로 급등했다. 이는 글로벌 보건 이슈와 맞물려 단기 트레이딩 수요가 집중된 모습이었다.
6. 저PBR·가치주
- 일부 저PBR(주가순자산비율) 종목군에 매기가 유입되며 시장 하단을 방어하는 역할을 했다. 이는 금리 상승과 가치주 선호 심리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기술적 분석 및 투자 심리
- 코스피는 2,600선 회복을 시도했으나 상단이 제한됐고, 추가 상승을 위해서는 외국인 매수세 지속과 글로벌 증시 안정이 필요하다.
- 코스닥은 720포인트 저항선 돌파 여부에 따라 단기 추세가 결정될 전망이다. 최근 낙폭 과대 종목의 기술적 반등이 두드러졌으나, 뚜렷한 주도주 부상은 제한적이다.
- 시장 전반적으로 단기 반등 국면이나, 외부 변수에 따라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상존한다.
시장 참여자 심리 및 전략적 시사점
- 외국인 매수세가 지수 상승을 견인했으나, 기관의 차익 실현 매도와 글로벌 불확실성으로 인해 상승 탄력이 제한적이었다.
- 개인 투자자들은 저가 매수로 방어적 역할을 하며, 단기 트레이딩 중심의 매매가 활발했다.
- 단기적으로는 방역, 바이오, 저PBR 등 특정 테마에 매수세가 집중되었으나, 시장 전체의 질적 확장보다는 단기 이벤트성 테마에 머무르는 모습이 두드러졌다.
시장을 읽는 한 문장
"2025년 5월 23일 국내 증시는 글로벌 금리와 미국 금융시장 불확실성, 동남아 코로나19 재확산 등 대외 이벤트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외국인 매수세와 단기 테마성 매매가 혼재된 제한적 반등장세를 보였다. 시장은 2,600선 회복을 시도했으나, 뚜렷한 주도 테마 없이 방어적 매수와 단기 트레이딩이 주도하는 변성 장세가 지속됐다.
핵심 요약
- 코스피 2,600선 회복 시도, 상승 탄력 제한
- 외국인 매수세와 기관 매도세 혼조
- 미국 금리, 글로벌 증시, 국내 정치 이벤트 등 대외 변수 영향
- 동남아 코로나19 확산에 방역·진단키트 테마 단기 급등
- 바이오·저PBR·가치주 등 단기 매수세 유입
- 시장 전체는 단기 반등 국면, 주도 테마 부재, 변동성 확대 가능성
'상한가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年05月27日>조선_방산_바이오_원자력_전력_Covid19 (28) | 2025.05.27 |
---|---|
<2025年05月26日>Covid19_비만치료제_유리기판_조선_LNG_2차전지 (32) | 2025.05.26 |
<2025年05月22日>Covid19_진단키트_마스크_탈모_화장품_백화점 (40) | 2025.05.22 |
<2025年05月21日>조선_방산_바이오_메타버스_우주항공_코로나19 (37) | 2025.05.21 |
<2025年05月20日>풍력_화장품_원자력_전력_철도_정치 (32)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