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9 상한가
대웅
HS효성·코오롱·대웅·서연 등 ‘지주사株’ 대선 앞두고 ‘질주?’ | 영남일보 - 사람과 지역의 가치를 생각합니다.
상상인증권
"오천피 갈까"… 증시부양 기대 증권株 급등 - 매일경제
롯데지주우
[살까팔까] '지배구조 개선' 대선 공약에…한화·효성 등 지주사株 '훨훨' | 연합뉴스
플레이그램
플레이그램 주가, 폭등... 상한가 가나? < 경제일반 < 경제 < 기사본문 - 금강일보
삼륭물산
[특징주] 삼륭물산, '이재명 대선공약' 탈플라스틱 산업 육성 소식에 상한가 < 금융·증권 < 기사본문 - 비즈워크
신풍제약우
신풍제약‧신풍제약우, 급락 하루만에 급등에 상한가…특히 신풍제약우 상한가 < 증시 < 경제 < 기사본문 - 이코노뉴스
일신바이오
[특징주] 일신바이오 상한가, “여름휴가철 코로나19 확산 절정” 백신 관련주 ‘뭉칫돈’ < 시세/공시 < 증권 < 기사본문 - 와이드경제
나이벡
나이벡, 美 바이오 기업에 섬유증 치료제 'NP-201' 기술이전 - 뉴스1
테마별 주요 동향
지배구조 개선과 배당 확대 등 대선 공약 수혜주 분석 등에 대웅(29.99%) 크라운해태홀딩스(19.97%) 코오롱(17.78%) HD현대(11.26%) 한화(10.22%)
대선 1위 후보 코스피 5000 시대 실현 강조하며 상상인증권(29.98%) 미래에셋증권(23.21%) 유진투자증권(16.58%) DB증권(10.12%) LS증권(10.05%)
아시아에서 코로나19 재확산세 지속 등에 일신바이오(29.96%) 국전약품(18.65%) 서린바이오(13.07%) 신풍제약(9.20%) 수젠텍(9.07%)
베트남_사우디_튀르키예 등과 한국전력 원전 수출 논의 소식에 태웅(13.92%) 현대건설(10.03%) 우진(7.55%) 두산에너빌리티(6.03%) 에너토크(5.19%)
美 국제무역법원(CIT)에서 트럼프 상호 관세 정책 대통령 월권 판결 소식에 서연(18.05%) 한국무브넥스(10.83%) 에코플라스틱(8.83%) 기아(4.72%) 현대차(2.74%)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 개시 소식에 이스타코(14.75%) 동신건설(13.55%) 에이텍(7.29%) 형지글로벌(5.67%) 오리엔트정공(3.87%)
[TTP] TODAYS TOP POINT
1. 시장 전반: 10개월 만의 최고치 경신
5월 29일 코스피는 전일 대비 1.89% 상승한 2,720.64에 마감하며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스닥 역시 1.03% 오르며 736.29로 마감했다. 이는 지난해 8월 미국발 경기침체 우려로 급락한 이후 처음으로 2,720선을 회복한 것이다. 시장은 기관과 외국인의 강한 순매수에 힘입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반면, 개인 투자자는 대규모 차익 실현에 나서며 9,970억 원 이상을 순매도했다.
2. 투자 주체별 동향과 심리
- 기관·외국인: 기관이 6,845억 원, 외국인이 2,903억 원 순매수하며 시장 상승을 견인했다. 금통위의 기준금리 인하(2.75%→2.5%)로 유동성 환경이 개선되고, 글로벌 투자심리가 회복되며 외국인 자금 유입이 가속화됐다.
- 개인 투자자: 상승장에서 차익 실현에 집중하며 대형주 위주로 매도세를 보였다. 그 결과, 중소형주와 테마주로의 자금 이동이 제한적이었다.
3. 주요 이슈와 테마별 흐름
A. 반도체·AI
- 미국 대표 반도체 기업의 호실적 발표가 국내 반도체 업종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시가총액 상위 반도체주가 강세를 보이며 지수 상승을 주도했고, AI 관련 테마도 동반 강세를 나타냈다.
- 반도체 섹터 내에서는 순환매가 활발하게 전개되며, 후속주 매매 전략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B. 2차전지·전기차
- 글로벌 전기차 기업의 주가 급등과 경영진의 본업 집중 이슈가 국내 2차전지 테마의 반등을 이끌었다. 시장에서는 2차전지 시가총액 상위주 중심으로 수급이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 전기차 및 배터리 생태계 전반에 걸쳐 정책 지원 기대감과 글로벌 수요 증가 전망이 맞물려 강한 매수세가 유입됐다.
C. 정책·정치 테마
- 대선 관련 테마주는 선거 종료와 함께 조정 국면에 들어섰다. 선거를 전후로 급등했던 정책주, 정치 인맥주는 차익 실현 매물과 함께 변동성이 확대되었다.
- 새 정부 출범 이후 경기 부양책, 증시 활성화 정책 등 구조적 변화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 전반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D. 에너지·인프라
- 원전, 신재생에너지, 전력 인프라 등 정책 수혜 기대감이 높은 에너지 테마가 순환매 장세 속에서 강세를 보였다. 글로벌 공급망 이슈와 정책 드라이브가 맞물리며 관련 업종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고 있다.
E. 바이오·헬스케어
- 글로벌 학회 개최와 임상 결과 발표를 앞두고 바이오·헬스케어 섹터에 대한 기대감이 유입됐다. 일부 기술 수출 및 임상 성공 기대감이 단기 매수세로 이어졌으나, 변동성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F. 내수·소비
- 기준금리 인하와 소비 심리 개선에 힘입어 내수, 여행, 레저, 영화 등 서비스 업종이 강세를 보였다. 계절적 수요와 정책 지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관련 테마가 시장의 관심을 받았다.
4. 시장 구조와 순환매 흐름
- 순환매 장세: 반도체, 2차전지, 에너지, 바이오 등 주요 테마가 번갈아 부각되며 자금이 순환하는 전형적인 순환매 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대형주 중심의 강세와 중소형주 부진이 교차하며, 단기 트레이딩 성향이 강화되고 있다.
- 정책·글로벌 변수: 금통위의 기준금리 인하, 글로벌 반도체 기업 실적, 미·중 무역협상 등 대외·정책 변수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졌다. 외국인 자금 유입과 정책 기대감이 시장의 추가 상승 모멘텀으로 작용하고 있다.
5. 향후 전망과 시장을 읽는 문구
"코스피가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며,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가 시장을 견인하고 있다. 반도체·AI·2차전지 등 성장 테마가 순환매를 주도하며, 정책·정치 변수와 글로벌 이벤트가 시장 방향성의 핵심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유동성 개선과 새 정부의 증시 활성화 정책 기대감이 투자심리를 자극하는 가운데, 단기적으로는 테마별 변동성과 순환매 흐름이 지속될 전망이다. 시장은 대형주 중심의 강세와 중소형주 부진이 교차하는 구조적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정책·글로벌 이슈에 따라 투자 전략의 유연성이 요구는 시점이다.
6. 투자 전략적 시사점
- 대형주·주도주 중심의 강세 흐름과 함께, 테마별 순환매에 주목한 단기 매매 전략이 유효하다.
- 정책·글로벌 변수에 따른 변동성 확대에 유의하며, 분산 투자와 리스크 관리가 중요하다.
- 중장기적으로는 외국인 자금 유입 지속 여부, 금리 인하 효과, 새 정부 정책 방향에 따라 시장의 추가 상승 모멘텀을 기대할 수 있다.
'상한가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年06月02日>지역화폐_게임_화장품_AI_신재생 (47) | 2025.06.02 |
---|---|
<2025年05月30日>통신장비_바이오_신재생_2차전지_우주항공 (20) | 2025.05.30 |
<2025年05月28日>2차전지_AI_반도체_지주사_석유화학_철강 (26) | 2025.05.28 |
<2025年05月27日>조선_방산_바이오_원자력_전력_Covid19 (28) | 2025.05.27 |
<2025年05月26日>Covid19_비만치료제_유리기판_조선_LNG_2차전지 (32) | 2025.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