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한가 분석

<2025年07月09日>증권사_지주사_방산_스테이블코인_화장품_구리

by 쌍코피_상한가 2025. 7. 9.

2025.07.09 코스피&amp;코스닥 지수
2025.07.09 쌍코피 지수

코스피 3,133.74 (0.60%) 마감 / 코스닥 790.36 (0.78%) 마감

2025.07.09 상한가

부국증권

[특징주] 자사주 소각 의무화 기대에 부국증권 상한가 | 연합뉴스

SGA

SI(시스템통합) 관련주, '룰루랄라 콧노래' SGA·SGA솔루션즈... '눈물이 주륵주륵' LG씨엔에스 < 핫이슈 < 사회 < 기사본문 - 현대경제신문

비케이홀딩스

비케이홀딩스 주가 상한가 등 코스닥 상승률 종목 'TOP' 주목 < 종합 < 경제 < 기사본문 - 국제뉴스

NHN KCP

"스테이블코인 대장"…NHN KCP, 증권가 분석에 52주 신고가[핫종목] - 뉴스1

인포바인

[특징주] 인포바인 상한가, “자사주 소각 의무 법안” 검토에 자사주 51% 보유 ‘부각’ < 시세/공시 < 증권 < 기사본문 - 와이드경제

테마별 주요 동향

더불어민주당 자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 법안 발의 소식에 부국증권(29.90%) 롯데지주(20.96%) 신영증권(17.18%) 대웅(15.74%) 상상인증권(13.15%) 

 

자사주 의무소각 법안에 주주가치 확대 기대감으로 인포바인(29.99%) 매커스(22.09%) 조광피혁(22.02%) 전방(14.63%) 텔코웨어(14.38%) 

 

이재명 대통령이 K-방산 육성 기대감에 LIG넥스원(8.59%) 현대로템(6.13%) 한화시스템(4.91%) 풍산(4.58%) 한화에어로스페이스(4.29%)

 

은행권에서 스테이블코인 상표권 경쟁 및 NHN KCP 수혜 분석 소식에 NHN KCP(30.00%) 미투온(10.58%) 뱅크웨어글로벌(10.51%) 더즌(10.37%) 넥써쓰(9.46%)

 

트럼프 대통령 구리 관세 50% 부과 예고 소식에 구리 가격 급등으로 이구산업(13.91%) 키스트론(12.76%) 풍산홀딩스(7.30%) KBI메탈(4.49%) 대창(4.18%) 

 

국내 화장품 업체 2025년 들어 컨센서스 상향 추세 분석에 잉글우드랩(11.30%) 코스메카코리아(9.45%) 에스엠씨지(7.29%) 한국화장품제조(6.69%) 달바글로벌(4.68%)

[TTP] TODAYS TOP POINT

1. 시장 전반의 흐름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상승세를 기록하며 투자심리가 강하게 살아난 모습이다. 코스피는 3,130선을 돌파하며 약 3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고, 코스닥 역시 790선에 근접하는 등 동반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번 상승은 정책 기대감, 글로벌 이슈, 수급 구조 변화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 코스피: 전일 대비 0.60% 상승, 3,133.74 마감
  • 코스닥: 전일 대비 0.78% 상승, 790.36 마감
  • 개인 투자자 중심의 순매수세가 지수 상승을 견인
  •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 개인이 이를 흡수하며 상승세 유지

2. 정책 및 제도 이슈

자사주 소각 의무화 기대감

최근 정부와 여당이 자사주 소각 의무화 법안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시장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이 정책은 기업의 주주환원 정책 강화와 시장 유동성 확대에 대한 기대를 불러일으키며, 관련 업종의 강세를 이끌었다. 특히 자사주 비중이 높은 업종 중심으로 투자심리가 크게 개선되었다.

증시 활성화 정책

새 정부 출범 이후 증시 활성화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다. 정책 모멘텀은 증권, 보험, 금융, 유통 등 전통적 가치주와 정책 수혜주 중심으로 자금이 유입되는 흐름을 만들고 있다. 정책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구조적 변화에 대한 기대가 시장 전반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3. 글로벌 이슈 및 매크로 환경

관세 및 무역 이슈

미국발 관세 정책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 시점을 8월로 못 박으면서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이 커졌다. 특히 반도체, 의약품, 금속 등 주요 산업에 대한 관세 발표가 임박해 있는 상황에서, **관세 영향이 적은 업종(방산, 증권 등)**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반면, 관세 우려가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일부 업종은 약세를 면치 못했다.

환율 및 글로벌 자금 흐름

원/달러 환율은 상승하며 외국인 자금의 이탈을 자극했다. 외국인은 현물과 선물 시장 모두에서 순매도를 기록했으나, 개인 투자자의 강한 매수세가 이를 상쇄했다. 글로벌 증시 역시 혼조세를 보였으나, 국내 시장은 정책 기대감에 힘입어 상대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유지했다.

4. 업종 및 테마별 흐름

강세 테마

  • 증권, 보험, 금융: 자사주 소각 기대감과 정책 모멘텀에 힘입어 강한 상승세. 증권업종은 6%대, 보험·금융업도 2~3%대 상승.
  • 방산, 우주항공: 관세 영향이 적은 방산 및 우주항공 관련 테마가 두드러진 강세. 정책적 지원 기대와 함께 실적 개선 기대감이 부각.
  • 유통, 화학: 경기 회복 기대와 정책 수혜에 힘입어 유통, 화학 업종도 강세를 보임.
  • 바이오, 2차전지: 코스닥 시장에서는 바이오, 2차전지, 로봇 등 성장 테마가 여전히 시장을 주도. 실적 기대감과 미래 성장성에 대한 투자자 관심이 이어짐.

약세 테마

  • 기계장비, 전기전자, IT서비스: 관세 이슈와 실적 부담으로 일부 제조업, IT서비스, 전기전자 업종은 약세를 보임.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도 출회.
  • 일부 대형주: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일부는 외국인 매도와 관세 부담, 실적 발표 후 실망감 등으로 약세를 기록.

5. 수급 동향 및 투자자 심리

  • 개인 투자자: 정책 기대감과 시장 활성화에 대한 기대를 바탕으로 공격적 순매수세를 보임.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 물량을 대부분 흡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
  • 외국인/기관: 관세 불확실성, 환율 상승 등으로 인해 순매도 기조 유지. 단기적으로는 관망세가 이어질 가능성.

6. 시장 구조적 변화와 전망

7월 들어 국내 증시, 금, 리츠 등 다양한 자산군에서 구조적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정책 모멘텀과 글로벌 자금 흐름 변화, 산업 구조 재편 등이 맞물리며 섹터별 차별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정책 기대감과 수급 변화가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이나, 글로벌 이슈(관세, 환율 등)와 실적 시즌 돌입에 따른 변동성 확대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요약 문구

정책 기대감과 자사주 소각 이슈, 글로벌 관세 불확실성 등 복합적 요인 속에서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상승세를 이어갔다. 개인 투자자의 강한 매수세가 외국인·기관의 매도세를 상쇄하며, 증권·보험·방산·바이오 등 정책 및 구조적 변화에 수혜가 예상되는 테마가 시장을 주도했다. 반면, 관세 부담이 큰 일부 제조·IT 업종은 약세를 보였다. 정책 모멘텀과 수급 변화가 단기 시장을 이끌고 있으나, 글로벌 이슈와 실적 시즌이 맞물리며 변동성 확대 가능성도 상존한다. 시장은 정책과 테마, 수급의 힘겨루기 속에서 섹터별 차별화 흐름이 더욱 뚜렷해질 전망이다.